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지난해 中 신에너지차 소매 1000만 대 돌파…전년比 40% ‘쑥’

[2025-01-14, 08:30:58]
[사진 출처=치처즈지아(汽车之家)]
[사진 출처=치처즈지아(汽车之家)]
지난해 중국 신재생에너지 승용차 국내 소매량이 전년도 동기 대비 41% 증가한 1089만 9000대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9일 중국신문망(中国新闻网)은 이날 중국 자동차유통협회 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가 발표한 전국 승용차 시장 분석 예측을 인용해 지난해 연간 신에너지차 소매 침투율이 47.6%로 전년 대비 12%포인트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같은 기간 중국 국내 승용차 누적 소매량은 2289만 대로 전년 대비 5.5% 성장률에 그쳤다. 중국 자동차 시장은 지난해 상반기 침체 양상을 보였으나 하반기 중앙정부의 ‘이구환신(以旧换新)’ 보조금 정책과 각 지방정부의 교체 보조금 지원에 힘입어 연간 성장률을 끌어올렸다.

지난해 4월 중국 상무부, 재정부 등 부처는 ‘자동차 이구환신 보조금 시행 세칙’을 발표해 승용차 폐차 및 교체 보조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어 같은 해 8월 상무부 등은 해당 보조금 지원 규모를 추가 확대했다.

승용차 교체 보조금은 특히 신에너지 자동차에 집중됐다. 그 결과 지난해 하반기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은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내 자동차 소비의 주류로 자리 잡았다. 실제 지난해 7~11월 신에너지 자동차 소매 침투율은 5개월 연속 50%를 웃돌았다.

중국의 자동차 수출량은 대폭 둔화됐다. 승용차연합회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승용차 수출량은 480만 대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으나 성장률은 37%포인트 둔화됐다. 특히 지난해 4분기 수출 성장률은 8%에 그쳤다.

이는 EU의 반보조금 관세, 국내 경쟁의 해외 확대 등 불리한 요인 때문으로 분석된다. 취동수(崔东树) 승용차연합회 사무총장은 9일 열린 간담회에서 내년 자동차 수출 성장률은 약 10%로 전망되며 이중 순수전기차 수출 성장은 제로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실제 지난해 1~11월 중국의 순수 전기차 수출량은 89만 4000대로 전년 대비 10.8% 감소했다.

한편, 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는 내년 중국 국내 자동차 소매량이 전년 대비 2% 증가한 2340만 대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이중 신에너지 승용차 소매량은 1330만 대로 전년 대비 20% 성장, 국내 소매 침투율이 57%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유재희 기자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연 50만元 적자" 윤봉길 의사 기..
  2. 광동 부럽지 않은 상하이 딤섬 레스토..
  3. [신선영의 ‘상하이 주재원’] 잠시..
  4. [허스토리 in 상하이] 영어 공부는..
  5. 2027년 상하이에 해리포터 테마파크..
  6. 上海 금 구매 열풍…황금계 ‘에르메스..
  7. 2월, 그 특별한 변천사
  8. 上海 ‘뉴트리아’ 주의보… 곳곳에서..
  9. 애플, 알리바바 손잡고 중국서 AI..
  10. 中 1억짜리 고급 차량에 ‘짝퉁’ 음..

경제

  1. 2027년 상하이에 해리포터 테마파크..
  2. 애플, 알리바바 손잡고 중국서 AI..
  3. CATL, 중국 제외 해외 배터리 시..
  4. 훨훨 나는 샤오미 주가, ‘사상 최고..
  5. 너자2, 中 최초 박스오피스 2조원..
  6. “전기차 6개월치 주문 밀려” 샤오미..
  7. 세계 커피 원두 가격 폭등, 중국산..
  8. 1월 상하이 신축 부동산 판매가 5...
  9. ‘너자2’ 대박에도 제작사 시총 이틀..
  10. 중국 시장의 ‘애플 신화’ 깨지다…시..

사회

  1. "연 50만元 적자" 윤봉길 의사 기..
  2. 上海 금 구매 열풍…황금계 ‘에르메스..
  3. 上海 ‘뉴트리아’ 주의보… 곳곳에서..
  4. 中 1억짜리 고급 차량에 ‘짝퉁’ 음..
  5. 지금이 여행 적기, 中 국내 항공권..
  6. 中 ‘100% 캐시미어 스웨터’에 양..
  7. ‘나의 소녀시대’ 대만배우 왕대륙,..
  8. 상하이 레고랜드 호텔, 5대 객실 테..
  9. “공부는 외국, 일은 내 나라에서”..

문화

  1. '월드아트엑스포 2025' 코엑스서..

오피니언

  1. [허스토리 in 상하이] 산동 물만두
  2. [신선영의 ‘상하이 주재원’] 잠시..
  3. [허스토리 in 상하이] 영어 공부는..
  4. [허스토리 in 상하이] 뮤링정담:..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