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 4곳 중 1곳은 밑지는 장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 투자기업에 대한 세금우대 축소,위안화 평가 절상,근로자 임금 인상 등 각종 악재가 겹친 데 따른 것이다.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는 최근 중국에 진출한 국내 180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26.4%가 적자 경영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8일 밝혔다.
또 흑자를 내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39.9%에 불과했다.
응답 기업들은 중국 내 사업 위험 요인으로 △정부의 긴축 조치 △고용 환경의 변화 △세금우대 축소와 세무조사 강화 △위안화 평가 절상 △환경규제 강화 △가공무역제도 축소 및 폐지 움직임 △기술 이전 및 연구개발(R&D) 투자요구 강화 △중국과 선진국의 통상 마찰 등을 꼽았다.
특히 응답 기업의 23.8%는 중국 사업이 어려워진 가장 큰 요인으로 고용 환경의 변화를 꼽았다.
중국 정부가 각 기업 내 노동조합의 권한을 확대해 주는 동시에 퇴직금 지급 및 사회보장 비용 징수 관리를 강화하면서 실질 노동 비용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중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의 58.9%는 최근 2년간 연평균 10% 이상 임금을 올려준 것으로 조사됐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중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의 상당수는 중국의 저렴한 인건비 효과를 누리기 위해 노동집약 산업 위주로 진출했다"며 "하지만 최근 들어 중국의 실질 인건비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한국 기업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 기업은 또 중국 정부의 긴축 조치로 인한 내수 판매 위축과 함께 자금조달 비용 증가를 호소했으며 외국 기업에 대한 세금우대 축소 및 중국의 위안화 절상 등도 경영에 부담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경영환경 악화에도 불구하고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78.8%는 중국 사업을 한층 확대하거나 현재 규모를 유지하겠다고 답했다.
이는 중국 정부가 '11차 5개년 계획'에서 발표한 내수 진작 정책에 따라 향후 상당한 수준의 내수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데다 중국 경제가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는 것에 따른 것으로 무역협회는 풀이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앞으로 중국의 새로운 정책 기조는 산업구조 고도화와 자체 생산능력 향상,지역 균형 발전,환경 보호 및 에너지 절약 등이 주축이 될 것"이라며 "국내 기업들의 중국시장 공략법도 임가공 위주에서 내수 시장을 겨냥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시급하게 전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